본문 바로가기
리뷰

서울대작전 솔직한 후기

by tkaehrhsl 2022. 8. 28.
반응형

넷플릭스 신작 '서울대작전'이 공개되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이 영화를 기대했었는데요. 먼저 유아인의 신작이라는 점이 눈길을 끌었습니다. 근 몇 년간 유아인이 주연한 작품 중 재미면에서 실망한 적은 별로 없었죠. 또한 영화의 소재가 굉장히 흥미로웠습니다.

 

서울대작전 힙트로 감성

'서울대작전'은 힙합과 레트로를 융합한 '힙트로'라는 특징을 표방하고 있습니다. 1988년이라는 시대에 현시대의 MZ 감성을 이식한 독특한 분위기의 영화인 것이죠. 심지어 거기에 레트로 카를 이용한 카체이싱을 주 소재로 하고 있으니 다른 건 몰라도 신선할 것이라는 예상이 되었습니다. 이 영화를 보고 나니 결과물과는 상관없이 그러한 유니크함은 분명히 있었습니다. 이런 느낌의 한국 영화가 '서울대작전' 이전에도 또 있었나 하는 생각이 들었죠.

 

그래서 그런지 '서울대작전'은 만화적인 영화로 보이기도 했습니다. 자칫 심각하게 받아들여질 숭도 있는 역사적 맥락을 장난치듯이 가지고 놀고 있다는 점이 눈길을 끌었죠. 무엇보다 메인 악역에 해당되는 '전 장군'에 대한 묘사가 그러했죠. 영화에서 정확한 이름이 나오진 않지만 대머리 아저씨, 독재자 아저씨 등으로 표현하기도 하고, 영화 극 후반, 절에서 칩거 중인 전 장군에게 영화는 쇠똥을 퍼붓기도 합니다.

 

'서울대작전'의 이런 장면은 세계적인 영화감독 '쿠엔틴 타란티노'의 바스터즈 라는 영화에서처럼 히틀러, 괴벨스 같은 인물들이나 역사적 사실들을 장난감 다루듯이 하는 것처럼 느껴졌습니다.

 

서울대작전 아쉬운 점

'서울대작전'이 '힙트로'라는 감성과 만화적인 진행을 하는 것은 다소 신선했지만 이 때문에 느껴지는 단점도 존재했습니다. 이를테면 너무 과한 설정을 밀고 나가는 것이 아닌가 하는 부분들이 존재했죠. 예를 들어, 동욱이 달리는 군용차에 매달려 비자금의 위치를 파악해내는 것, 살인자의 누명을 쓴 '빵꾸팸'을 '갈치'의 어머니가 너무 쉽게 받아준다는 것, 마지막 전투기에서 차량이 탈출하는 장면 등이 개인적으로는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드는 장면이었어요.

 

서울대작전 인상적인 화면비율

'서울대작전'의 핵심은 1988년과 2022년의 감성들을 서로 혼합시키는 것입니다. 영화는 시작부터 프레임의 변화로 이를 드러내고 있죠. '준기'가 들고 다니던 캠코더의 프레임이 4:3의 화면비로 시작해서 1988년 사우디라는 자막이 뜨는 순간 2.35:1의 화면비로 변모합니다. 소위 말하는 고전 할리우드 영화의 비율에서 블록버스터급 영화에 어울리는 비율로 전환되고 있는 것이죠.

 

'서울대작전'에서 나오는 준기의 캠코더는 영화 속 세계에 놓여있는 소품이지만, "4:3이라는 과거가 2.35:1이라는 현재에 속해있다. 이 영화는 현재 속에 과거를 이식한 영화이다."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죠.

 

물론 이러한 과거와 현재의 융합은 앞서 이야기했 듯 현재 관객에게 과거의 레트로 감성을 전하는 효과가 가장 중요하겠지만, 진지하게 더 들어가 보자면, 창작자는 1988년이라는 격동의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활극을 통해서 현재의 관객들에게 무언가를 전하고 싶어 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반응형

 

 

서울대작전 빨간색의 의미

'서울대작전'에서 가장 인상적인 색깔은 '빨간색'입니다. 물론 이영화는 힙한 미장센이 중요하기 때문에 빨간색을 곳곳에 넣는 것은 디자인적으로 당연한 일일 수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빨간색'이 언제 어떻게 활용되는지는 찾아보면 조금 흥미로운 면이 있죠.

 

'서울대작전'의 '빨간색'은 우리 편의 색이다라고 명확하게 말해주고 있습니다. 또한 명확한 빌런을 정해주고 있죠. 일명 '전 장군'은 자신의 비자금에 대해 '이건 권리금 아니야?'라고 이야기하며 비자금 조성에 대한 죄의식이 전혀 없는 인물로 묘사되고 있죠. 전 장군의 반대편에서 독재를 막으려는 '안 검사' 역시 '전 장군의 비자금은 우리같이 열심히 사는 사람들의 혈세다'라고 노골적인 대사를 읊죠.

 

즉, '서울대작전'은 농담인 듯 장난인 듯 표현하고는 있지만 엄연히 명확한 악인을 지적하고 있고 그에 대한 노골적인 반감을 가지고 있는 영화인 것이죠.

 

서울대작전 창작자의 의도는?

그렇다면 '서울대작전'은 '빵꾸팸'에게 무한한 응원을 보내는 영화인지에 대해서는 애매모호합니다. 앞서 언급했던 '안 검사'는 주인공 일행에게 훈육을 하듯 말을 하는데 개인적으로 저는 이것이 창작자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로 보이기도 했습니다. '안 검사'의 입장에서 주인공의 일행이 썩 긍정적으로만 보이지 않을 것입니다.

 

'서울대작전'의 마지막 주인공 '동욱'은 카메라를 쳐다보며 'LA에 가기 전 껍데기부터 바뀌어야지'라고 말합니다. 안 검사는 극 중에서 주인공을 향해 껍데기만 치장한다고 비판했던 사람입니다. '차, 미국만 관심 가질 것이 아니라, 세상 돌아가는 꼴을 보라'라고 말했죠. 그런데 이들은 껍데기부터 바꿀 생각으로 달러 다발을 챙겼으며 여전히 미국에 집착하고 있는 것입니다.

 

어떻게 보면 '서울대작전'에 나오는 주인공 일행은 독재를 타도하겠다는 거대한 목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아닌 자신들의 죄를 삭감하고 비자를 받기 위해 일에 연루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저는 어쩌면 '서울대작전'이라는 영화에는 창작자의 조금 더 깊은 태도가 녹아 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서울대작전 결론

결론적으로 '서울대작전'은 힙트로라는 유니크함과 신선한 소재 속에서 농담, 장난처럼 이야기하지만, 그 이야기 속에는 날카로운 칼날이 숨어있는 영화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영화감독의 메시지와는 상관없이 좀처럼 한국영화에서 볼 수 없었던 미장센과 힙트로라는 것을 느껴보고 싶으시다면 귀중한 시간 내어 한번 보시는 것도 나쁘지 않겠다고 생각이 듭니다.

반응형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재는 아름다워 종영 후 논란  (0) 2022.09.23
공조 2: 인터내셔날 솔직한 후기  (0) 2022.09.22
불릿 트레인 솔직한 후기  (0) 2022.08.27
놉 솔직한 후기  (0) 2022.08.24
놉 개인적인 해석  (0) 2022.08.20

댓글